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트 기법의 장점만 취하는 주소 변환 기법
- 프로그램을 의미 단위의 세그먼트로 나눈다.
-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위는 페이지 단위
- 주소변환을 위해 외위의 세그먼트 테이블 과 내부의 페이지 테이블 이용
- > 2단계 페이지 테이블과 유사한 구조- < 세그먼트 번호, 오프셋> 으로 구성된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주소로 변환
- 세그먼트 번호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테이블의 해당 항목에 접근
- 항목에 있는 세그먼트 길이와 세그먼트의 페이지 시작 주소 를 획득
- 세그먼트의 길이를 넘어서는 메모리접근 시도인지 확인
- 오프셋 값이 큰지 여부 확인
- 테이블의 시작위치에서 페이지 번호만큼 떨어진 곳이 물리적 메모리의 페이지 프레임 위치
- 페이지의 프레임 위치에서 오프셋의 하위 비트값인 페이지 내 변위만큼 떨어진 곳이 물리적 메모리 주소
- < 세그먼트 번호, 오프셋> 으로 구성된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주소로 변환
'책 >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장 1. 요구 페이징 (0) | 2023.12.24 |
---|---|
8장 가상메모리 (1) | 2023.12.23 |
7장 4. 페이징 기법 (0) | 2023.12.21 |
7장 3.물리적 메모리의 할당 방식 (0) | 2023.12.21 |
7장 2. 메모리관리와 관련된 용어 (0) | 2023.1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