캐싱(caching) ?
저장장치 계층간의 속도차이를 완충하는 기법을 연구해 온 예시
- 컴퓨터구조 -> 캐시 메모리
- 운영체제 -> 페이징 기법
- 데이터베이스 -> 버퍼링 기법
- 웹의 보편화와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(Contents Delivery Network: CDN)의 발달
-> 원격지의 객체를 캐싱하는 기법인 웹캐싱 기법의 중요성 부각
웹캐싱(web caching)이란?
- 웹 사용자에 의해 빈번히 요청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웹캐시 서버에 보관해
빠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법 - 인터넷 정보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주요 기법중 하나
(필요성) 웹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함에 의한
- 네트워크의 병목현상 발생
- 웹서비스의 지연현상 발생
프락시서버(proxy server)
프록시 서버(proxy server)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.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'프록시',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. -wikipedia-
- 웹캐싱만을 전담하는 서버
- 웹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
- 네트워크의 대역폭 절약하기 위해 사용
- 웹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
역방향 프락시캐시(proxy cache)
- 웹서버쪽에서 사용
- 웹서버의 객체들을 캐싱하여 서버의 부하는 직접적으로 줄이는 역할
- 웹 사용자의 지연시간을 줄이는 역할
캐시 교체 알고리즘(Cache replacement algorithm)
- 한정된 캐시 공간을 가고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어떠한 객체를 캐시에 보관하고
어떠한 객체를 캐시에서 삭제할지 온라인으로 결정하는 알고리즘 - 연구되어온 시스템
- 버퍼캐싱, 페이지
- LRU(Least Recently Used)
일관성 유지(consistency policy)기법이 필요
'책 >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강 6. 동적 웹 객체의 캐싱 기법 (0) | 2024.01.02 |
---|---|
10장 3. 웹캐시의 일관성 유지 기법 (1) | 2024.01.02 |
9장 4.디스크의 저전력 관리 (0) | 2023.12.26 |
9장 3. 다중 디스크 환경에서의 스케줄링 (0) | 2023.12.26 |
9장 2.디스크 스케줄링 (0) | 2023.1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