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자료

블로그
정규화 설명
정규화 + 이상현상 설명
함수용어 설명

위키피디아
제 1 정규형
제 2 정규형
제 3 정규형

 

제 1 정규화  

1. 만들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데이터를 최소단위로 쪼개어서 구성한다.

학번 수강과목 강의실 성적
001 데이터베이스, 자바스크립트 301, 102 3.5, 4.0
002 자바스크립트 102 4.0

2. 한 칸에 하나의 데이터만 입력을 한다.

학번 수강과목 강의실 성적
001 데이터베이스 301 3.5
001 자바스크립트 102 4.0
002 자바스크립트 102 4.0

 

제 2 정규화 : 제1 정규형이면서, 기본키(primary key)에 속하지 않은 속성 모두가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인 정규형

기본키의 부분집합이 결정자가 되지 않도록 테이블을 분리할 것, 즉 한 테이블에서 기본키 이외의 요소가 다른 요소를 결정하지 않는것

- 제 1 정규화 테이블에서 기본키가 "학번" 인데  수강과목이  강의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.

분리

테이블 1

학번 수강과목 성적
001 데이터베이스 3.5
001 자바스크립트 4.0
002 자바스크립트 4.0

테이블 2

수강과목 강의실
데이터베이스 301호
자바스크립트 102호

제 3 정규화 : 제2 정규화를 진행한 테이블에서 이행적 종속을 없애도록 테이블을 분해하는 것

학번 지도교수 학과
001 교수 1 컴퓨터
002 교수 2 전자

이행적 종속이란 X를 알면 Y를 알고 그를 통해 Z를 알 수 있는 경우

위의 테이블에서 보면  학번 - 지도교수  지도교수 - 학과 를 알고  이를 통해서 학번- 학과 를 알수 있다.

 

분리

학번 지도교수
001 교수 1
002 교수 2
지도교수 학과
교수 1 컴퓨터
교수 2 전자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