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RL (Uniform Resource Locator) ?
웹상에서 원하는 자원(웹사이트, 문서, 이미지, 동영상등)을 정확히 찾을 수 있는 고유한 주소
URL의 구조
http://www.example.com:80/path/to/myfile.html?key1=value1&key2=value2
http - 제일 앞부분인 해당자원을 얻기 위해 어떤 통신규약, 즉 프로토콜
https - 좀 더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
www.example.com - 호스트 주소, IP주소(ex 74.125.24.101)를 문자형태로 바꾼것 = DNS
:80 - 포트 번호 (고유한 번호), 이를 통해서 만 자원이 오갈 수 있다.
path/to/myfile.html - 경로(path), 컴퓨터에 있는 파일의 경로와 비슷한 역할
?key1=value1&key2=value2 - 파라미터, 웹 서버에 전달할 문구(요청)
공백이 있으면 안된다.
URL? URI?
URI = Uniform Resource Identifier : 자원을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식별자
URL = Uniform Resource Locator : 자원의 위치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
URN = Uniform Resource Name : 자원을 지칭하는 고유한 이름
URL (자원위치) + URN (자원이름) = URI(자원 식별)
URL을 IP로 변환하는 DNS (Domain Name System)
DNS 는 우리가 입력한 웹사이트(도메인) 주소를 컴퓨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 해주는 역할
Domain & IP
(ex) 지도 앱에서 장소명 (예술의 전당) 을 치면 위치(장소명이 위치한 주소, GPS 좌표)가 나오는 것
Domain : 장소명
IP 주소 : 장소명이 위치한 주소 →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
한 웹 사이트의 IP주소가 (123.456.789.1) 라면 기억을 하기 어렵다
그래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호스트 이름이 생김. 이것이 도메인(www.example.com).
123.456.789.1 → www.example.com
도메인의 구조
최상위 도메인이 com, net, org, edu, gov, mil, int 과 같은 일반 도메인인 경우
WWW | example | com |
서브 도메인 | 2차 도메인 | 1차 도메인 (최상위 도메인) |
-2 단계에서 도메인 신청자가 원하는 이름을 사용
최상위 도메인이 국가 도메인인 경우
www | company | co | kr |
서브 도메인 | 3차 도메인 | 2차 도메인 | top-level-domain(TLD) |
- 2단계 도메인은 기관을 분류(co, or, ac 등)하기 위해서 미리 정의된 이름을 사용
DNS ?
DNS : 도메인과 IP 주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, 변환 시스템
DNS 서버 (네임서버) : 변환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
DNS의 통신방법
Local DNS :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인터넷 통신사의 DNS 서버
ROOT DNS : 최상위 도메인( 1차 도메인, .com .kr . org)을 관리하는 서버의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
최상위 도메인 DNS : 최상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관리하고 있다. 예) com DNS, kr DNS, ..
- DNS 서버(Local DNS)에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가 없는 경우 설명
주소창에 google.com 이라는 도메인을 입력했을 시
1번 & 8번
1번 : User → ( www.google.com ) → Local DNS
8번: IP 주소를 알고 있으면 Local DNS -> (74.125.24.101 )-> User
2번 & 3번
2번 : Local DNS → (www.google.com IP 주소를 아니?) → Root DNS
3번 : Root DNS → (모르겠는데. 내가 알려주는 com DNS 서버로 가볼래?) -> Local DNS
4번 & 5번
4번 : Local DNS → (www.google.com IP 주소를 아니?) → Com DNS
5번 : Com DNS → (모르겠는데. 내가 알려주는 .google.com DNS 서버로 가볼래?) -> Local DNS
6번 & 7번
6번 : Local DNS → (www.google.com IP 주소를 아니?) → google.com DNS
7번 : google.com DNS → (어 알아! 74.125.24.101 이야) → Local DNS
8 번
Local DNS -> (74.125.24.101 )-> User
참고 자료
https://gigaline.com/okdomain/info/info-8.html
6.인터넷도메인이름체계(한국인터넷정보센터자료인용)
6. 인터넷 도메인 이름 체계 (한국 인터넷 정보센터 자료 인용)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도메인은 전세계적으로 고유하게 존재하여야 하므로 공통적으로 정해진 체계가 있으며, 임의로 변경하거
gigaline.com
'책 >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 - HTTP-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장 :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(0) | 2023.10.31 |
---|---|
5장 :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(0) | 2023.10.30 |
4 장: IP (0) | 2023.10.27 |
2 장 : 네트워크 개념 (0) | 2023.10.25 |
1 장 : 웹 (2) | 2023.10.25 |